top of page

그냥 써본 에이아이 생각들

정리된 건 아니고, 그냥 에이아이에 대해 남들이 말한 것들이나 생각난 것들 적어 놓았습니다. 언젠가는 인사이트를 얻으리라는 생각을 하며^^

2025년 03월 31일 : LoRA 이야기가 뜸. ComfyUI, Gemini 2.5 Pro랑 Deepseek V3-0324. ComfyUI 해보려고 여러번 트라이를 했는데 나의 후진 노트북이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계속 뻑남

2025년 03월 30일 : 앤트로픽이 safety 관련된 연구를 많이 하는데, 대형언어모델에서 이 답변이 왜 나왔는지에 관한 분석 수준이 매우 많이 올라왔음. 모델이 특정 답변을 생성한 이유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연구—즉, 모델의 해석 가능성(interpretability)—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이 해석 가능성이 매우 발전하여, 모델이 어떤 맥락, 어떤 내부 구조(예: attention 패턴이나 토큰 처리 방식) 때문에 특정 출력을 생성했는지를 깊이 분석할 수 있는 수준까지 도달하고 있다는 말

 

2025년 03월 29일 : 챗지피티가 지브리 스타일로 하도 찍어대니깐 지브리가 경고장. 제발 자기 프사 지브리로 바꾸는 것 그만 해주길 바람. 남의 저작권인데

 

2025년 03월 28일 : OpenAI에서 ChatGPT에 대해 학습할 수 있는 아카데미를 오픈. ChatGPT Edu는 2024년 5월에 출시된 프로그램으로, 대학과 캠퍼스 커뮤니티를 위한 맞춤형 버전의 ChatGPT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 교수, 연구자, 행정 직원 등이 AI를 활용하여 학습과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설계. 근데 아카데미는 링크가 여기: https://academy.openai.com/public/content

 

2025년 03월 27일 : 옵시디언에 md 파일로 기획서를 써놓은 것을 그대로 lovable에 던지니 간단한 프롬프트로도 위의 홈페이지 같이 만들어주더라, 앤트그룹에서 AI모델 가성비로 개발. 참조: Obsidian (https://obsidian.md/download): 개인 지식 관리를 위한 마크다운 기반 노트 앱입니다. 강력한 링크 기능과 플러그인 시스템을 통해 지식 그래프를 시각화하고, 학습이나 연구에 매우 유용한 도구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참조2) Lovable은 AI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 빌더 플랫폼. 사용자가 자연어 설명을 통해 아이디어를 제시하면, 코딩 없이도 웹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할 수 있도록 설계. 옵시디언은 무료인데 Lovable은 20불이라 고민중 

2025년 03월 26일 : 4컷 만화 전성시대. 53컷짜리 디즈니풍 토마스 선교사 이야기를 만들어 봄. 아프리카에 있는 케이티랑 미국에 있는 Jay에게 영어 버전을 만들어서 던져 주면 감동이 있으려나? 

2025년 03월 25일 : 구글이 생각 또는 사고하는 모델인 Gemini 2.5를 발표. 개요(구글의 소개): Gemini 2.5는 Google에서 개발한 최신 AI 모델로, 복잡한 작업 처리를 위해 추론 능력을 강화한 것이 특징입니다. 이전 세대 모델에 비해 향상된 성능과 정확성을 제공하며, 다양한 벤치마크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습니다. Gemini 2.5는 텍스트, 코드,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는 멀티모달 기능을 지원합니다./ Gemini 2.5 Pro는 Gemini 2.5 모델 제품군 중 가장 진보된 모델로, 복잡한 추론 및 코딩 작업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LMArena 리더보드에서 1위를 차지하며, 고급 추론 능력을 요구하는 다양한 벤치마크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입니다. Google AI Studio 및 Gemini Advanced 사용자를 통해 이용할 수 있으며, 곧 Vertex AI에서도 제공될 예정입니다.

2025년 03월 24일 : MCP가 핫한 키워드로 부상, 바이트 댄스에서 Qwen2.5-32B 기반 모델을 사용하여 AIME 2024에서 50점 받았다는 DAPO(Decoupled Clip and Dynamic sAmpling Policy Optimization)를 공개. 참조: Model Context Protocol(MCP)은 Anthropic이 개발한 오픈 프로토콜로, AI 모델이 외부 데이터 소스에 안전하고 일관된 방식으로 접근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Claude AI 챗봇을 비롯한 다양한 AI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며, Google, Microsoft, OpenAI 등 주요 기업들이 이 표준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MCP는 데이터를 요청하는 프로그램인 MCP 호스트, 서버와 연결을 유지하는 MCP 클라이언트, 기능을 제공하는 MCP 서버로 구성되며, 서버는 도구(Tools), 리소스(Resources), 프롬프트(Prompts)를 통해 AI의 기능 수행을 지원합니다. 실제 사례로는 Confluent, GitHub, Google Drive 등을 위한 MCP 서버가 있으며, 커뮤니티에서는 철도 정보, Spotify, Todoist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 통합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MCP Inspector와 Guardian 같은 도구를 통해 테스트 및 보안 관리를 강화할 수 있으며, AI 에이전트 개발을 단순화하고 실시간 데이터 접근 및 보안을 강화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새로운 프로토콜에 대한 학습 필요, 기술의 초기 단계성, 보안 우려, 로컬 중심의 구현 등은 현재 한계로 지적됩니다. Anthropic은 2025년 5월 22일 ‘Code with Claude’ 개발자 컨퍼런스를 개최하여 MCP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예정입니다.

 

2025년 03월 23일 : notebookLM 구독도 고려해야 할 시기, 아무리 특화 sLM이라도 기본 지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무쓸모. NotebookLM은 Google에서 제공하는 AI 기반 연구 도구로, 사용자가 문서를 정리, 분석하고 통찰력을 얻도록 돕습니다. NotebookLM은 기본 버전과 플러스 버전(NotebookLM Plus)으로 나뉘며, 플러스 버전은 Google One AI Premium 구독을 통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5년 03월 22일 : 제미나이에 대해 드는 생각은 기본능력은 젤 후달리지만 최적화, 기능, 생태계로 승부본다

 

2025년 03월 21일 : 클로드 최근 업데이트에서 추론이랑 멀티모달 강화, 앤트로픽이 작년 11월 공개한 MCP의 기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AI 모델이 로컬 PC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꾸로 로컬 PC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필요시 AI 모델을 호출해서 다른 어플리케이션과의 인터페이스로도 쓸 수 있습니다.

 

2025년 03월 20일 : 버거킹? 드라이브쓰루도 AI 트랜스폼하기 쉽지 않던데, 귀추가 주목

 

2025년 03월 19일 : LLM이 화이트칼라를 겨냥한다면, 로봇은 블루칼라를 겨냥하는 것은 아닐까?

 

2025년 03월 18일 : 잼미니 딥 리서치 좋더라, LG AI연구원의 추론 강화모델 EXAONE Deep 라인업이 방금 공개

 

2025년 03월 17일 : 얀 리쿤이 왜 현재 LLM이 학습방식이 AGI로 못가는 이유로 지금 AI는 간접학습 방식이라는 것을 지적

 

2025년 03월 16일 : 메타가 라마를 오픈소스로 풀었을 때 딥시크와 같은 임팩트를 예상하지 않았을까?

2025년 03월 15일 : Deep Research 5종 비교 - - OpenAI, Gemini, Perplexity, Genspark, Manus Deep Research

2025년 03월 14일 : 클로드 다이어그램 꽤 쓸만하더라, 클로드 그림 간단히 그리기 아주 좋죠

2025년 03월 13일 : 사내 개발자들이 코딩할때, AI를 활용? 지금의 AI 경쟁이 군비경쟁이랑은 좀 많이 다르다고 생각하는데, 군비경쟁은 상대를 이기는게 목적이라면 지금은 인간 지능과 육체를 목표로 하고 있지 않나요?

2025년 03월 12일 : 왓슨과 프레딕스 모두 리얼리티보다 마케팅에 집중했다고 하더군

2025년 03월 11일 : 제미나이 2.0 flash experimental에 대화형 이미지 생성 기능이 생겼는데 이게 성능이 어마어마

2025년 03월 10일 : OpenAI 에이전트 도구 출시 - 몇 줄의 코드로 AI 에이전트 개발하기

2025년 03월 09일 : manus가 되게 신기한게, 그냥 검색만 시켜도 임시 작업공간을 만들고 봅니다

2025년 03월 08일 : "삼성 자체만의 경쟁력"을 기준으로 이야기하면 애플보다 낫다 판단하기는 어렵다 봅니다. 하지만 안드로이드라는 OS를 사용하는걸 활용해서 구글의 AI 역량을 잘 활용하고 있다고 보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2025년 03월 07일 : 꼰데 왈: 젊은 사람들이 엉덩이 붙이고 일할 생각은 안하고 AI 시키고 놀 생각만 한다

2025년 03월 01일 : 대형 AI 기업들이 주도하는 특허와 데이터 소유권 문제

2025년 02월 28일 : 대규모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s, LLM)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최적화 연구, DeepMind의 AlphaFold가 단백질 구조 예측 정확도

2025년 02월 27일 : AI 모델의 "설명 가능성(Explainability)"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심화, Google DeepMind의 Gopher 모델이 대규모 언어 모델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 발표

2025년 02월 26일 : AI 기반 영상 생성 기술의 발전, 특히 실시간 동영상 콘텐츠 생성 및 편집을 위한 새로운 툴 공개 - GEN4

2025년 02월 25일 : AI 기술에 대한 법적 책임을 명확히 하려는 새로운 제안이 발표

2025년 02월 24일 : 자율주행차 및 AI 기반 교통 시스템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 개발 발표

2025년 02월 23일 : AI를 활용한 개인화된 의료 서비스 및 치료 추천 시스템에 대한 연구 결과 발표

2025년 02월 22일 : AI와 클라우드 컴퓨팅의 융합을 통해 더 빠르고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 기술

2025년 02월 21일 : Anaconda, Lumen AI 발표

2025년 02월 20일 : OpenAI, ChatGPT 경고 메시지 제거

2025년 02월 19일 : 원자력발전만이 답인데, SMR로 커버하기에도 너무 큰 용량

2025년 02월 18일 : 한국에서 딥시크 다운로드 중단

2025년 02월 17일 : 중국은 chatgpt를 사용하지 못하는 환경이라 자체 llm 서비스 경쟁이 치열하다고 들었습니다

2025년 02월 16일 : 대량의 GPU를 전략자산으로 확보해서 국가가 직접 ‘한국도로공사‘같은 걸 만들어 고속도로처럼 운영했으면

2025년 02월 15일 : 딥시크나 03-mini-high 정도 수준을 개인 컴퓨터에서 돌릴 수 있을 정도면... openAI 구독을 취소할 수도 있지 않을까? 

2025년 02월 14일 : 이제 에이전트들 더 많이 나올건데 아찔합니다. 에너지분산법이리고... 대전이나 서울처럼 소비만 많이하는 도시시민은 비싼전기료를 지불하고 충남이나 부산처럼 전기를 많이 생산하는 지역의 주민들은 저렴한 전기료를 지불하는 제도가 있긴 합니다

2025년 02월 13일 : 중국데이터가 있고, 김치는 중국꺼다라는 확률이 크게 나타내는 데이터셋 분포가 있음

2025년 02월 12일 : Adobe, Firefly 기반 AI 비디오 생성 도구 출시

2025년 02월 11일 : Grok AI 챗봇에 이미지 편집 기능을 추가

2025년 02월 10일 : DeepSeek은 정말 싼가?

2025년 02월 09일 : GRPO를 쓰던 RLHF를 쓰던 비용이 큰데, 저 지식증류계열로 학습하는 레시피가 매우 저비용이거든요

2025년 02월 08일 :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오픈AI o1과 유사한 성능의 AI 모델 R1을 '오픈 웨이트(open-weights, 개방형 가중치)'로 공개

2025년 02월 07일 : 전략적으로 판단하면, 굳이 국내파에 연연할 필요도 없죠. 이건 전세계단위 경주고요. 경주는 이겨야 합니다. 

2025년 02월 06일 : 성능과 논란을 완전히 떠나서 딥시크가 여기저기에서 전부 충격적이긴 했던거같습니다

2025년 02월 05일 : claude가 요새 좀 시원찮은 것 같던데, 빗코인은 이제 에이직이 아니면 채굴이 불가능히다고 보시면 됩니

2025년 02월 04일 : Perplexity가 은근슬쩍 잠수함 패치를 했네요 Pro 사용자는 Pro 모드가 기본이었는데, Auto로 돌려놨습니다.

2025년 02월 03일 : 왜 자꾸 생성Ai를 이용한 결과물을 다른 잣대로 구분지으려 하는지, 딥시크, 실제 개발 비용은 5억달러 이상

2025년 02월 02일 : DeepSeek’s Rise- How a Chinese Start-Up Went From Stock Trader to A.I.

2025년 02월 01일 : 단순한(?) 패턴인식을 넘어서 능동적으로 외부 기능과 상호작용하고 reasoning이 가능한 기능을 Agent라고 차별화

2025년 01월 31일 : DeepSeek AI 모델에 대한 접근을 차단, Azure AI Hub 만들면 기본적으로 스토리지 계정이랑 키 자격증명 모음이 생성되는데 이거 유지만 하는데도 소액의 비용 청구될 거 같은데

2025년 01월 30일 : GPT-o1 vs DeepSeek-R1 추론 비교, 현재 중국 경제싱태면 고연봉아니라 취업만 시켜줘도 열심히 하겠다고 덤벼들 130명은 금방 모았을 거에요. 초기 투자비용이 페이팔 매각금액

2025년 01월 29일 : 증류모델이 아닌 풀모델 맛볼 수 있다. 아마존이 사용자 마우스 궤적까지 수집해서 소비자 사용 패턴을 분석. 딥시크는 미국 주요 AI 모델과 대등한 성능을 보이면서도 현저히 낮은 개발 비용을 실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25년 01월 28일 : 다들 오오 구글 성능 좋은데? 싶으면서도 주력 툴로 사용하시는 분은 아직은 좀 드문 거 같아요 

2025년 01월 27일 : 굳이 LLM을 만들지 않아도 할 일이 많다

2025년 01월 26일 : 독립적인 LLM이 거의 끝나간다

2025년 01월 25일 : 운전하면서 voices GPT와 중얼중얼 하다보면, 가끔 '대나무숲'안에 있는 느낌이 들곤 합니다

2025년 01월 24일 : 딥시크의 V3는 6710억 개의 매개변수를 가진 모델로, 오픈AI의 GPT-4o 및 메타의 Llama 3.1과 비교할 때 성능 면에서도 대등하거나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2025년 01월 23일 : 1. Web Clipper: 웹 콘텐츠를 나만의 양식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법, 2. Smart Composer: AI 기반 글쓰기 지원 도구의 활용, 3. Templater with AI: 자동화된 템플릿으로 작업 효율 극대화

2025년 01월 22일 : 임상은  좀 다른 문제같아요 전에도 AI로 신약조합물질 추천해줬는데 제약회사서 그거 임상실험자체가 좀 이슈라고

2025년 01월 21일 : 자체 npu를 규모의 경제 이룰수 있는 수준으로 운영할 수 있는 곳이 아니라면 새로 개발하는게 사실상 어려울테고

2025년 01월 20일 : 제미나이 좋아졌어요. 엄청

2025년 01월 19일 : RAG 하지 마세요...모든 정보를 프롬프트에 입력하세요

2025년 01월 18일 : 비선형 빅데이터는 통계의 대상이 아니다

2025년 01월 17일 : SciSpace (영어만 가능), NotebookLM (영어만 가능)

2025년 01월 16일 : RNN 계열의 언어모델을 벗어나고자 Transformer가 태어났는데, 다시 회귀하는거군요. 역시...유행은 돌고 도는

2025년 01월 15일 : 퍼플렉시티도 딥서치를 내놓았습니다

2025년 01월 14일 : NotebookLM 써보시면 토큰길이 느껴집니다

2025년 01월 13일 : 수력발전이라 전기요금도 싸고, 자동차세가 비쌌던 노르웨이가 추위라는 악조건에서도 더 빨리 미래에 다가서는 듯 합니다. 

2025년 01월 12일 : 현대차증권이 AI 디지털휴먼으로 시황 방송을 완전 자동화 

2025년 01월 11일 : 헥사팟 드론은 천장 / 비탈면 / 틈새 등으로 기어서 진입, 돌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던데, 무선충전, 무선공유기와 결합되면 재난상황에서도 유용하겠습니다. 

2025년 01월 10일 : 연구의 양극화가 이뤄지는 겁니다. 방향을 설정할수 있는 고위 연구자와 아직은 부족한 로봇 기술을 대신하는 노가다 인력으로요. 

2025년 01월 09일 : 게티이미지가 경쟁사인 셔터스톡를 인수한다고 발표

2025년 01월 08일 : 토요타, 컨티넨탈, 오로라가 엔비디아와 차량 전동화에 협업한다고 합니다

2025년 01월 07일 : 저도 첨엔 domain knowledge gap을 공략하는 방식으로 내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살리면서 AI와 머신러닝을 접목시킬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었지만, AI와 머신 러닝 쪽의 발전 속도가 너무 빠른데다가 어차피 데이터가 부족한걸 지성으로 메꾸려는 것이 domain 지식인데 데이터는 곧 자본과 동의어라는 걸 생각해봤을때 따라잡히는 건 그저 시간 문제라는 게 제 결론이었습니다.

2025년 01월 06일 : SMR이 감당 가능?

2025년 01월 05일 : 솔직히 최근 강력한 툴들 이용해보면서 과연 평범한 과학자 공학자가 몇 년이나 버틸수 있는지 궁금해집니다.

2025년 01월 04일 : 좌뇌와 우뇌가 뇌랑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 같이 온톨로지와 LLM는 서로 연결될 때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2025년 01월 03일 : GPT의 등장 이후 글을 읽는 것이 쉬워졌지만 그만큼 멍해진 것을 느낍니다.

2025년 01월 02일 : 윗분들은 저런 일에 투입되는 실무자의 시간과 노력을 아주 쉽게 생각하시죠. 그래서 AI의 도입 효과에 대한 온도차가 실무자와 많이 다릅니다. 

2025년 01월 01일 : 재작년에 달리3 써서 그림그릴 때 글씨는 제가 자체적으로 손으로 후보정했어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