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품, 개념, 그리고 단어들
제가 써 놓은 글들에서 찾은 주요 단어들 설명
4M: Apple과 스위스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EPFL)가 공동 개발하여 오픈소스로 공개한 멀티모달 AI 모델입니다. 이미지, 텍스트, 3D 형상 등 다양한 데이터를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습니다.
달리3 (DALL-E 3): OpenAI가 개발한 이미지 생성 AI 모델의 세 번째 버전입니다. 텍스트 설명을 바탕으로 이전보다 훨씬 더 정확하고 창의적인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도조 v2 (Dojo v2): Tesla가 자체 개발한 2세대 AI 슈퍼컴퓨터 칩입니다. 완전자율주행(FSD) 시스템을 위한 대규모 영상 데이터 처리 및 신경망 훈련 성능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디지털 자동차 조수: 차량 내에서 운전자와 상호작용하며 정보 제공, 차량 제어,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AI 기반 시스템을 통칭하는 개념입니다. ID.A 음성비서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딥시크: 중국의 AI 스타트업 DeepSeek AI 또는 해당 회사가 개발한 AI 모델을 지칭합니다. 특히 오픈소스 언어 및 코드 모델로 알려져 있습니다.
딥페이크: 인공지능 기술, 특히 딥러닝을 사용하여 기존 인물의 얼굴이나 목소리를 합성하여 만든 가짜 콘텐츠입니다. 진짜와 구별하기 어려워 오용의 우려가 제기됩니다.
딥페이크 탐지 AI: 딥페이크 기술로 조작된 가짜 이미지나 비디오를 식별하고 탐지하는 AI 기술입니다. 미디어 콘텐츠의 진위를 판별하여 허위 정보 확산을 막는 데 사용됩니다.
딥페이크 판별 AI: 딥페이크 기술로 만들어진 가짜 미디어 콘텐츠를 탐지하고 판별하는 AI 기술입니다. 딥페이크 탐지 AI와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됩니다.
레드팀 (AI): AI 시스템의 취약점, 편향, 오용 가능성 등을 찾기 위해 의도적으로 공격적인 테스트를 수행하는 활동 또는 팀을 의미합니다. AI 모델의 안전성과 견고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입니다.
로블록스 AI 코딩·에셋 생성 도구: 사용자 제작 콘텐츠(UGC) 게임 플랫폼 로블록스(Roblox)가 크리에이터에게 제공하는 AI 기반 개발 도구입니다. 텍스트 설명만으로 코드를 생성하거나 게임 내 아이템(에셋)을 만드는 것을 도와 창작 장벽을 낮춥니다.
뤼튼 (Wrtn): 한국의 AI 스타트업 및 해당 회사가 제공하는 AI 기반 글쓰기 보조 및 콘텐츠 생성 플랫폼 서비스입니다. 챗지피티 Wrapper로 추정되며 다양한 글쓰기 템플릿과 AI 도구를 제공합니다.
리벨리온 AI 반도체: 한국의 AI 반도체 스타트업 리벨리온(Rebellions)이 개발하는 NPU(신경망 처리 장치) 칩입니다. 데이터센터 및 AI 연산에 최적화된 고성능, 고효율 반도체를 목표로 합니다.
멀티모달 AI (Multimodal AI): 텍스트, 이미지, 음성, 비디오 등 두 가지 이상의 다양한 데이터 유형(양식)을 동시에 이해하고 처리하거나 생성할 수 있는 AI 기술입니다. 인간의 정보 처리 방식과 유사합니다.
멀티모달 AI 에이전트: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율적으로 작업을 계획하고 수행하는 AI 에이전트입니다. 보다 복잡하고 현실적인 문제 해결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메타멀티버스: 메타버스(가상 세계)와 멀티버스(다중 우주) 개념을 결합한 용어일 수 있습니다. 여러 개의 상호 연결된 가상 세계 또는 AI가 생성하는 다양한 가능성의 세계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미드저니 비디오 생성 모델: 이미지 생성 AI로 유명한 Midjourney가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진 텍스트-비디오 생성 모델입니다. 텍스트 설명을 통해 동영상을 만드는 기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미드저니 seed 값: Midjourney 이미지 생성 시 특정 결과물을 재현하거나 유사한 스타일의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초기 노이즈 패턴의 식별 번호입니다. 동일한 seed 값을 사용하면 비슷한 결과물을 얻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볼리 홈 로봇: 삼성이 개발한 공 모양의 AI 기반 홈 로봇입니다. 사용자와 상호작용하고 집안 환경을 모니터링하며 스마트홈 기기를 제어하는 등 개인 맞춤형 도우미 역할을 수행합니다.
비주얼 Bing: Microsoft Bing 검색 엔진에 통합된 이미지 기반 검색 및 생성 기능입니다. 사용자가 이미지를 업로드하여 관련 정보를 찾거나, 텍스트 설명을 통해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생성형 물리 AI: 텍스트나 이미지 대신 로봇의 움직임, 유체 흐름 등 현실 세계의 물리적 현상이나 시스템 동작을 시뮬레이션하고 생성하는 AI 기술 분야입니다. 산업 자동화, 로봇 공학 등에 활용됩니다.
생성형 AI 콘텐츠 워터마크: 생성형 AI가 만든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눈에 띄지 않는 식별 정보를 삽입하는 기술입니다. 콘텐츠의 출처를 명확히 하여 딥페이크 등 오용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스마트 안경 (코드명 Orion): Meta(구 Facebook)가 개발 중인 증강현실(AR) 스마트 안경의 코드명입니다. AI 기능이 통합되어 사용자에게 현실 세계 위에 디지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스타일리스트 AI: 주로 패션 및 스타일링 분야에서 활용되는 AI입니다. 사용자의 취향이나 상황에 맞춰 옷 조합을 추천하거나 가상 피팅 등을 제공합니다.
슬랙 GPT 기능: 업무용 메신저 Slack에 통합된 GPT 기반의 AI 기능입니다. 대화 요약, 정보 검색 등 협업 효율성을 높이는 데 사용됩니다. (Slack AI와 유사)
아날로그 AI 칩: 기존 디지털 방식 대신 아날로그 회로를 사용하여 신경망 연산을 수행하는 AI 반도체 칩입니다. 에너지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집니다.
아바우신 (abaucin): AI 기술을 활용하여 발견된 새로운 항생 물질 후보입니다. 슈퍼박테리아(특히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에 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되어 신약 개발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아웃페인팅 (Outpainting): 기존 이미지의 경계를 넘어 바깥 영역을 AI가 상상하여 자연스럽게 확장하고 그려나가는 기술입니다. 이미지의 캔버스 크기를 늘리거나 더 넓은 장면을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온디바이스 AI (On-Device AI): 클라우드 서버를 거치지 않고 스마트폰, 노트북 등 사용자 기기 자체에서 직접 실행되는 AI 기술입니다. 개인 정보 보호 강화, 빠른 응답 속도, 오프라인 작동 가능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옴니버스 플랫폼 (Omniverse): NVIDIA가 개발한 3D 디자인 협업 및 가상 세계 시뮬레이션 플랫폼입니다. AI 기술을 활용하여 실제와 같은 가상 환경을 구축하고, 로봇 훈련 등에 사용됩니다.
완전자율주행 (FSD): 운전자의 개입 없이 차량 스스로 모든 주행 상황을 제어하는 기술입니다. Tesla 등이 AI 기반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레벨 5 자율주행을 목표로 합니다.
우리GPT: 인도 IT 대기업 타타 컨설턴시(TCS)가 사내 직원들을 위해 자체 개발하여 도입한 대화형 AI 챗봇입니다. 업무 관련 질문 답변, 보고서 요약 등에 활용되어 생산성을 높입니다.
울프람알파 플러그인: ChatGPT 등 AI 챗봇이 Wolfram Alpha의 방대한 계산 지식 및 데이터 분석 능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연동하는 플러그인입니다. 수학, 과학 등 전문 분야 질문에 대한 정확도를 높입니다.
음성 클립 워터마크: AI가 생성한 합성 음성에 인간이 들을 수 없는 고유한 식별 신호(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기술입니다. AI 음성의 출처를 추적하고 악용을 방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음성 합성 기술: 사람의 목소리를 인공적으로 만들어내는 기술입니다.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TTS)하거나, 특정인의 목소리를 복제하는 데 사용됩니다.
음악 생성 AI: 텍스트 설명, 장르, 분위기 등의 입력을 바탕으로 인공지능이 새로운 음악(멜로디, 반주, 보컬 등)을 작곡하거나 편곡하는 기술 분야입니다. 창작 도구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미지 세그멘테이션: 컴퓨터 비전 기술 중 하나로, 이미지 내의 각 픽셀을 해당 픽셀이 속한 객체나 영역(예: 사람, 자동차, 하늘)으로 분류하는 과정입니다. 자율주행, 의료 영상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됩니다.
이상거래 탐지 AI: 금융 거래 데이터를 AI가 분석하여 사기, 자금 세탁 등 비정상적이거나 의심스러운 거래 패턴을 실시간으로 식별하는 시스템입니다. 금융 보안 강화에 활용됩니다.
인과 AI (Causal AI): 데이터 속의 상관관계 너머 인과관계를 추론하고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AI 연구 분야입니다. 특정 개입의 효과를 예측하거나, 결과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인페인팅 (Inpainting): 이미지의 특정 부분을 마스크 처리(지우거나 선택)한 후, AI가 주변 맥락을 고려하여 해당 부분을 자연스럽게 채워 넣는 이미지 복원 및 편집 기술입니다. 불필요한 객체를 제거하거나 손상된 부분을 복구하는 데 사용됩니다.
자동프롬프팅기술: 사용자의 목표나 간단한 지시를 바탕으로 AI가 스스로 최적의 프롬프트를 생성하거나 개선해 나가는 기술입니다. 사용자가 효과적인 프롬프트를 직접 작성하는 어려움을 줄여줍니다.
자연어 코딩 (“입코딩”): 프로그래밍 코드를 직접 작성하는 대신, 사람이 사용하는 자연어(예: 한국어, 영어)로 원하는 기능을 설명하면 AI가 이를 코드로 변환해주는 방식입니다. 코딩 장벽을 낮추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자율 통신망: AI 기술을 활용하여 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관리, 자원 할당, 장애 복구 등을 스스로 최적화하고 운영하는 지능형 네트워크 시스템입니다. 네트워크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자율무기 (Autonomous Weapon): 인간의 개입 없이 스스로 목표물을 탐색, 식별하고 공격할 수 있는 무기 시스템입니다. AI 기술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윤리적, 법적 논란이 큰 분야입니다.
자율주행 배달 로봇: AI 기술을 이용해 스스로 경로를 탐색하고 장애물을 피해 물건을 배달하는 로봇입니다. 물류 및 배송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되고 있습니다.
지식i(아이): 네이버가 운영하는 지식 Q&A 서비스 '지식iN'에 하이퍼클로바X AI 모델을 접목한 대화형 검색 서비스입니다. 사용자의 질문 의도를 파악하여 요약된 답변과 관련 정보를 함께 제공합니다.
칸미고(Khanmigo): 온라인 교육 플랫폼 칸아카데미(Khan Academy)가 개발한 AI 기반 학습 튜터입니다. 학생들의 질문에 답하고 학습 과정을 안내하며, 교사의 업무를 보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커스텀 GPT(GPTs): 사용자가 OpenAI의 도구를 이용하여 특정 지식이나 기술을 바탕으로 맞춤 설정한 ChatGPT 버전입니다. GPT 스토어를 통해 공유될 수 있습니다.
코히어 (다국어 모델): 캐나다 AI 스타트업 Cohere가 개발한, 100개 이상의 언어를 지원하는 기업용 대규모 언어 모델입니다. 다국어 환경에서의 자연어 처리 및 생성 능력에 강점을 가집니다.
클로드 3 소네트 (Sonnet): Anthropic의 Claude 3 모델 라인업 중 성능과 속도의 균형을 맞춘 모델입니다. Opus보다 빠르고 비용 효율적이면서도 대부분의 작업에서 우수한 성능을 제공합니다.
클로드 3 오퍼스 (Opus): Anthropic의 Claude 3 모델 라인업 중 가장 크고 강력한 성능을 가진 모델입니다. 복잡한 추론, 분석, 창작 작업에서 최고 수준의 능력을 발휘합니다.
클로드 3 하이쿠 (Haiku): Anthropic의 Claude 3 모델 라인업 중 가장 작고 빠른 모델입니다. 실시간 상호작용, 간단한 질의응답 등 속도가 중요한 작업에 최적화되었습니다.
텐센트 QQ 메신저 AI 챗봇: 중국 IT 기업 텐센트가 자사의 QQ 메신저 플랫폼에 통합하여 테스트 중인 AI 챗봇 기능입니다. 사용자 대화를 돕거나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팀즈(Teams) AI 요약 기능: Microsoft Teams 화상회의 후 녹화된 내용을 AI가 분석하여 주요 논의 사항, 결정 내용, 실행 항목 등을 자동으로 요약해주는 기능입니다. 회의 내용을 빠르게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파동이봇: 특정 커뮤니티나 서비스 내에서 사용되는 AI 챗봇의 이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구체적인 기능이나 개발 주체는 해당 커뮤니티의 문맥 정보가 필요합니다.
퍼플렉시티 딥서치: AI 검색 엔진 Perplexity가 제공하는 심층 검색 기능입니다. 사용자의 복잡한 질문에 대해 여러 웹 소스를 종합 분석하여 상세하고 구조화된 답변을 생성합니다.
프라이빗 챗GPT: 기업이나 조직이 내부 데이터 유출 걱정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ChatGPT 버전 또는 유사 서비스입니다. 데이터가 모델 학습에 사용되지 않고, 접근 통제가 강화된 환경에서 운영됩니다.
프롬프트 (Prompt): 생성형 AI 모델에게 원하는 결과물을 만들도록 지시하거나 요청하는 텍스트 또는 기타 형식의 입력입니다. AI의 출력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생성형 AI 모델로부터 원하는 최상의 결과물을 얻기 위해 효과적인 프롬프트를 설계하고 최적화하는 과정 또는 기술입니다. AI와의 상호작용 능력을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
플래시 싱킹(Flash Thinking): AI를 활용하여 매우 짧은 시간 안에 아이디어를 생성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특정한 기술보다는 AI 활용 방식을 나타내는 개념일 수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AI: 클라우드 기반 AI와 온디바이스 AI(엣지 AI)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대규모 연산은 클라우드에서, 실시간 처리나 개인 정보 관련 작업은 기기에서 수행하여 장점을 극대화합니다.
하이쿠 모드 (Claude): Anthropic의 Claude 챗봇에 포함된 기능 중 하나입니다. 사용자의 텍스트 입력을 일본의 짧은 정형시인 하이쿠(5-7-5 음절) 형식으로 바꿔주는 창의적인 기능입니다.
하이퍼클로바X: 네이버가 개발한 초거대 AI 모델입니다. 한국어 데이터 학습에 강점을 가지며, 네이버의 다양한 서비스(검색, 쇼핑, 클라우드 등)에 적용되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킵니다.
헌법적 AI (Constitutional AI): AI 스타트업 Anthropic이 개발한 AI 모델 훈련 기법입니다. AI가 스스로 일련의 윤리 원칙(헌법)에 기반하여 유해하거나 편향된 답변을 생성하지 않도록 학습하고 교정하는 방식입니다.
헥사팟 드론: 6개의 프로펠러(로터)를 가진 드론 형태입니다. AI 기술이 비행 제어, 장애물 회피, 임무 수행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휴머노이드 로봇: 인간과 유사한 형태와 움직임을 가진 로봇입니다. AI 기술을 통해 자율적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상호작용하며 작업을 수행합니다.
A-SWE: 딥마인드가 개발한(오픈 AI도 같은 이름의 제품 발표) 자율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에이전트입니다. 코드 작성, 테스트, 디버깅 등 소프트웨어 개발 작업을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A2A 프로토콜: Agent-to-Agent 통신 프로토콜로, 딥마인드가 제안했습니다. 여러 AI 에이전트들이 서로 정보를 교환하고 협력하여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도록 지원합니다.
Agent: 목표 달성을 위해 자율적으로 계획하고 행동하는 AI 시스템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개념입니다. 특정 제품 이름보다는 AI의 한 종류나 기능을 지칭합니다.
AgentGPT: Auto-GPT와 유사하게, 사용자가 목표를 설정하면 AI 에이전트가 웹 브라우저 내에서 자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랫폼 또는 도구입니다.
AGI (범용 인공지능): 인간이 할 수 있는 어떠한 지적 작업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가상의 인공지능입니다. 현재의 AI 기술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표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AI 개인비서: 사용자의 일정 관리, 정보 검색, 예약, 기기 제어 등 개인적인 작업을 돕는 AI 기반 소프트웨어 또는 시스템입니다. 스마트폰의 음성 비서나 챗봇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AI 노트북: NPU(신경 처리 장치) 등 AI 연산 가속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를 탑재하여, 온디바이스 AI 기능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노트북 컴퓨터입니다. (AI PC와 유사)
AI 디지털 교과서: AI 기술이 접목된 디지털 형태의 교과서입니다. 학생 수준별 맞춤 학습 콘텐츠 제공, 자동 채점 및 피드백, 학습 데이터 분석 기반의 학습 경로 추천 등 지능화된 기능을 제공합니다.
AI 디지털휴먼: 실제 사람과 유사한 외형과 행동을 가진 AI 기반의 가상 인간입니다. 고객 서비스, 교육,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AI 변호사: 법률 문서 작성, 판례 분석, 법률 상담 등 변호사의 업무 일부를 수행하거나 보조하는 AI 시스템 또는 그 개념을 의미합니다. 아직 법적 지위나 책임 소재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AI 신약 후보 물질: AI 기술(딥러닝, 분자 시뮬레이션 등)을 활용하여 특정 질병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거나 설계된 새로운 화합물입니다. 신약 개발 초기 단계에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데 기여합니다.
AI 아바타: 사용자를 대신하여 가상 공간에서 활동하거나 소통하는 AI 기반의 디지털 캐릭터입니다. 사용자의 외형, 목소리, 성격 등을 모방하거나 특정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계될 수 있습니다.
AI 영어교사 로봇: 학생과 영어로 대화하며 발음 교정, 문법 설명, 맞춤형 학습 피드백 등을 제공하는 AI 기반 로봇입니다. 외국어 학습 효율을 높이고 교사의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AI 오버뷰: Google 검색 결과 페이지 상단에 AI가 생성한 요약 정보를 보여주는 기능입니다. 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핵심 내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AI 위성스케줄러: 인공위성의 운영 계획(촬영, 통신 등)을 AI가 자동으로 최적화하여 수립하는 시스템입니다. 제한된 자원(시간, 전력, 통신 대역폭 등) 하에서 위성 임무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AI 정렬 (Alignment): AI 시스템이 인간의 의도나 가치에 부합하도록 설계하고 제어하는 연구 분야입니다. AI가 유익하고 안전하게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AI 컴패니언: Zoom 화상회의 플랫폼에 통합된 AI 기능 모음입니다. 회의 요약, 다음 단계 제안, 채팅 메시지 작성 보조 등을 통해 회의 생산성을 높입니다.
AI 튜터: 학생의 학습 수준과 속도에 맞춰 개인화된 지도와 피드백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기반 학습 시스템입니다. 1:1 과외와 유사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AI 팩토리: NVIDIA가 제시한 개념으로, AI 모델 개발 및 배포를 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통합한 엔드투엔드(End-to-end) 솔루션입니다. 기업의 AI 도입 및 활용을 가속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AI 합성 보컬: AI 기술을 사용하여 사람의 노랫소리를 인공적으로 생성한 것입니다. 특정 가수의 목소리를 모방하거나 새로운 가상의 목소리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AI 해석 가능성 (Interpretability/Explainability): AI 모델이 특정 결정을 내린 이유나 과정을 인간이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능력 또는 관련 기술 분야입니다. AI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
AI PC: NPU 등 AI 가속기를 내장하여 클라우드 연결 없이도 기기 자체에서 AI 작업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개인용 컴퓨터입니다. (AI 노트북과 유사)
AI폰: 온디바이스 AI 기능을 강화하여 기기 자체에서 실시간 번역, 사진 편집, 개인화된 비서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입니다. 2024년 이후 주요 트렌드로 부상했습니다.
AINote: 음성 메모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AI가 요약하거나 정리해주는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앱 또는 소프트웨어를 지칭할 수 있습니다. 음성 기반의 생산성 향상 도구입니다.
Ajax: Apple이 내부적으로 AI 모델 개발을 위해 사용하는 기계 학습 프레임워크의 코드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Google의 JAX와 유사한 기능을 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Aleph Alpha: 독일의 AI 스타트업 및 해당 회사가 개발한 대형 언어 모델(LLM)입니다. 유럽의 데이터 주권과 다국어 지원을 강조하며, 기업용 AI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Alexa 음성비서: Amazon이 개발한 인공지능 기반 음성 비서 서비스입니다. 스마트 스피커(Echo 등) 및 다양한 기기에 탑재되어 정보 검색, 음악 재생, 스마트 홈 제어 등을 수행합니다.
Alexa LLM: Amazon Alexa 음성 비서의 기반이 되는 대규모 언어 모델입니다. 사용자의 말을 더 잘 이해하고, 더 자연스럽고 유용한 답변을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AlphaDrug (알파드럭): Google DeepMind가 개발 중인 신약 개발 지원 AI 시스템입니다. 특정 질병 표적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화합물 구조를 설계하고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AlphaFold2: Google DeepMind가 개발한 단백질 구조 예측 AI 모델입니다. 생명 과학 분야에서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매우 높은 정확도로 예측하여 신약 개발 및 질병 연구에 혁신을 가져왔습니다.
AlphaProteo: Google DeepMind가 개발한 AI 시스템입니다.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처음부터 새로운 단백질 구조를 설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Amazon Bedrock: AWS(Amazon Web Services)에서 제공하는 완전 관리형 서비스입니다. Amazon 및 타사 AI 스타트업의 다양한 파운데이션 모델(FM)에 API를 통해 접근하고, 이를 활용해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Apple GPT: Apple이 내부적으로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진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가칭입니다. 향후 Siri 성능 개선이나 새로운 AI 기반 서비스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Apple Intelligence: Apple이 자사의 운영체제(iOS, iPadOS, macOS) 전반에 통합한 온디바이스 AI 플랫폼입니다. 사용자 개인 정보 보호를 강조하며, 기기 내에서 쓰기 도구, 이미지 생성, Siri 개선 등 다양한 AI 기능을 제공합니다.
Aria (오페라 AI 비서): 웹 브라우저 개발사 Opera가 자사 브라우저에 탑재한 AI 기반 비서 기능의 이름입니다. 웹페이지 요약, 정보 검색, 콘텐츠 생성 등을 지원합니다. (Meta의 모델 Aria와는 별개)
Aria: 웹 브라우저 개발사 Opera가 자사 브라우저에 탑재한 AI 기반 비서 기능의 이름입니다. 웹페이지 요약, 정보 검색, 콘텐츠 생성 등을 지원합니다. (Meta의 모델 Aria와는 별개)
Articul8 AI: 인텔에서 분사하여 설립된 독립 기업으로, 기업 고객을 위한 생성형 AI 소프트웨어 솔루션 개발에 주력합니다. 데이터 보안과 맞춤형 모델 구축에 강점을 둡니다.
AudioCraft: Meta AI가 개발한 오디오 생성을 위한 오픈소스 AI 프레임워크입니다. 음악 생성(MusicGen), 효과음 생성(AudioGen), 오디오 압축(EnCodec) 등 다양한 오디오 관련 모델과 도구를 포함합니다.
Auto-GPT: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GPT 모델을 활용하여 스스로 작업을 계획하고, 인터넷 검색, 파일 관리 등 필요한 단계를 자율적으로 실행하는 실험적인 오픈소스 AI 에이전트입니다.
Azure AI: Microsoft Azure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인공지능 서비스 및 도구 모음입니다. 기계 학습, 인지 서비스, 챗봇 개발 등 다양한 AI 기능을 포함합니다.
Azure OpenAI: Microsoft Azure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OpenAI의 GPT 모델(ChatGPT, GPT-4 등)을 안전하고 확장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기업 고객들이 자체 데이터와 결합하여 AI 솔루션을 구축하는 데 활용됩니다.
Bard: Google이 개발했던 대화형 AI 챗봇 서비스의 이전 이름입니다. 현재는 Gemini로 리브랜딩되었으며, Google의 최신 AI 모델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Bark: AI 스타트업 Suno AI가 개발한 텍스트 기반 오디오 생성 모델입니다. 음성뿐만 아니라 음악, 효과음 등 다양한 종류의 오디오를 텍스트 설명만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BIC (Bing Image Creator): Microsoft Bing 검색 엔진에 통합된 AI 이미지 생성 도구입니다. DALL-E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사용자가 텍스트 설명을 입력하면 관련 이미지를 생성해줍니다.
Bing 챗봇: Microsoft Bing 검색 엔진에 통합된 대화형 AI 기능입니다. 최신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 질문에 답하고, 요약, 글쓰기 등 다양한 작업을 지원합니다. (현재 Copilot으로 통합됨)
BingChat: Microsoft Bing 검색 엔진에 통합되었던 대화형 AI 챗봇의 이전 이름입니다. 현재는 Microsoft Copilot 브랜드로 통합되었습니다.
Blender + ChatGPT: 3D 그래픽 소프트웨어 Blender와 ChatGPT를 연동하여 사용하는 워크플로우입니다. 예를 들어, 자연어 명령으로 3D 모델링 작업을 자동화하거나, 캐릭터 애니메이션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Chameleon (카멜레온): Meta AI가 개발한 멀티모달 AI 모델입니다. 텍스트와 이미지를 하나의 모델에서 동시에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는 'any-to-any' 능력을 특징으로 합니다.
Character-1.5: Hedra Labs가 개발한 실시간 캐릭터 애니메이션 및 비디오 생성 AI 모델의 개선 버전입니다. 텍스트나 오디오 입력을 통해 캐릭터의 표정과 움직임을 생성하는 능력이 향상되었습니다.
Character.AI: 사용자가 다양한 가상 캐릭터(유명인, 역사적 인물, 창작 캐릭터 등)와 대화할 수 있는 AI 챗봇 플랫폼입니다. 사용자가 직접 캐릭터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ChatGPT + Wolfram 플러그인: ChatGPT가 Wolfram Alpha의 계산 지식 엔진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플러그인 기능입니다. 복잡한 수학 계산, 데이터 분석, 과학적 질의응답 등 ChatGPT의 약점을 보완하여 정확성을 높입니다.
ChatGPT 사생활 보호 모드: 사용자의 대화 기록이 ChatGPT 모델 학습에 사용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기능입니다. 개인 정보 보호 및 데이터 프라이버시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ChatGPT 웹브라우징 기능: ChatGPT가 실시간으로 웹을 검색하여 최신 정보에 접근하고 답변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모델의 지식 한계를 보완하여 최신성을 높입니다.
ChatGPT 플러그인: ChatGPT가 외부 서비스나 데이터 소스(예: 웹 검색, 쇼핑, 예약, 계산 엔진)와 연동하여 실시간 정보를 이용하거나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확장하는 기능입니다. GPT 스토어의 커스텀 GPT와는 다른 초기 형태의 확장 기능입니다.
ChatGPT API: 개발자가 자신의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에 ChatGPT 모델의 기능을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OpenAI가 제공하는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입니다. 다양한 AI 기반 서비스 개발에 활용됩니다.
ChatGPT Enterprise: OpenAI가 기업 고객을 위해 제공하는 ChatGPT의 유료 버전입니다. 강화된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더 빠른 성능, 높은 사용량 한도 등을 제공합니다.
ChatGPT iOS 앱: OpenAI가 iPhone 사용자를 위해 출시한 공식 ChatGPT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웹 버전의 기능을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하여 제공합니다.
ChatGPT Plus: OpenAI의 ChatGPT 모델에 대한 유료 구독 서비스입니다. 일반 사용자보다 빠른 응답 속도, 최신 모델 우선 접근권, 추가 기능 사용 등의 혜택을 제공합니다.
ChatGPT Work with Apps: ChatGPT가 외부 애플리케이션(예: Google Drive, Microsoft 365)과 연동하여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기능입니다. 사용자의 워크플로우 내에서 ChatGPT 활용도를 높입니다.
ChatGPT: OpenAI가 개발한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 모델입니다. 자연어 이해 및 생성 능력을 바탕으로 사용자와 대화하고 다양한 질문에 답하며 글쓰기, 코딩 등을 돕습니다.
Chirp 3: Google DeepMind의 차세대 범용 음성 모델입니다. 수백만 개의 음성 데이터를 학습하여 음성 인식, 번역, 생성 등 다양한 음성 관련 작업을 높은 품질로 수행합니다.
Cisco AI Shield: 네트워크 장비 기업 Cisco가 제공하는 AI 기반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입니다. 네트워크 트래픽과 장비 로그를 AI가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위협을 탐지하고 자동으로 방어 조치를 수행합니다.
Claude 2: Anthropic의 Claude 언어 모델 시리즈 중 이전 세대 모델입니다. Claude 3 이전에 출시되어 자연스러운 대화 능력과 안전성을 특징으로 했습니다.
Claude 2.5 플래시: Anthropic의 Claude 2.5 모델 라인업 중 속도와 비용 효율성에 중점을 둔 경량 모델입니다. 실시간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되었습니다.
Claude 3.5: Anthropic의 Claude 3 모델 라인업 중 최신 버전입니다. 이전 버전에 비해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시각 정보 처리 능력과 코딩 능력이 개선되었습니다.
Claude 챗봇: AI 스타트업 Anthropic이 개발한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입니다. 자연스러운 대화 능력과 함께 안전성과 윤리성을 강조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Claude Instant 1.3: Anthropic의 Claude Instant 모델의 개선 버전입니다. 경량 모델임에도 불구하고 향상된 맥락 이해와 자연스러운 대화 능력을 제공하며, 빠른 응답 속도가 특징입니다.
Claude Max Plan: AI 기업 Anthropic이 제공하는 Claude 모델의 최상위 유료 구독 플랜입니다. 가장 높은 사용량 한도와 우선적인 기술 지원을 제공하여 대규모 사용 기업이나 헤비 유저에게 적합합니다.
Claude Sonnet 3.5: Anthropic의 Claude 3.5 모델 라인업 중 성능과 속도의 균형을 맞춘 버전입니다. 합리적인 비용으로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여 기업 고객에게 인기가 높습니다.
CM3leon: Meta AI가 개발한 멀티모달 AI 모델입니다. 텍스트와 이미지를 상호 변환하고 생성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이미지 캡션 생성, 텍스트 기반 이미지 편집 등 다양한 작업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Code interpreter: ChatGPT(주로 유료 버전) 내에서 파이썬 코드를 실행하고 데이터 분석, 시각화, 파일 변환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사용자가 직접 코드를 몰라도 자연어 명령으로 데이터 관련 작업을 할 수 있게 돕습니다.
Code Llama 70B: Meta AI가 오픈소스로 공개한 700억 파라미터 규모의 코드 생성 특화 대형 언어 모델입니다.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코드 완성, 디버깅, 설명 생성 등에 뛰어난 성능을 보입니다.
Codestral 22B: 프랑스 AI 스타트업 Mistral AI가 개발한 오픈소스 코드 생성 전문 언어 모델입니다. 220억 개의 파라미터를 가지며,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의 코드 작성 및 이해 능력이 뛰어납니다.
Colab AI 어시스턴트: Google Colaboratory(Colab) 노트북 환경 내에서 코딩 작업을 돕는 AI 기능입니다. 코드 자동 완성, 설명 생성, 디버깅 지원 등을 제공하여 개발 생산성을 향상시킵니다.
ComfyUI: Stable Diffusion 이미지 생성 모델을 위한 노드 기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입니다. 복잡한 이미지 생성 워크플로우를 시각적으로 구성하고 제어할 수 있게 해줍니다.
ControlNet: Stable Diffusion과 같은 이미지 생성 모델에 추가적인 제어 조건을 부여하는 기술입니다. 원본 이미지의 윤곽선, 깊이 정보, 인간 자세 등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게 하여 결과물의 제어력을 높입니다.
Copilot X: Microsoft가 발표했던 차세대 AI 비서 개념으로, 윈도우, 오피스 등 자사 제품 전반에 걸쳐 사용자의 작업을 돕는 통합 AI 에이전트를 지향합니다. 현재는 Microsoft 365 Copilot, Windows Copilot 등으로 구체화되었습니다.
Copilot+ PC: Microsoft가 제시한 차세대 PC 규격으로, 강력한 NPU(신경 처리 장치)를 탑재하여 온디바이스 AI 기능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는 노트북 또는 PC를 지칭합니다. Recall 등의 AI 기능이 특징입니다.
Covariant AI 소프트웨어: 로봇 팔 등이 물체를 인식하고 집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돕는 AI 소프트웨어입니다. 주로 물류 창고 자동화 및 제조업 분야에서 로봇의 지능을 높이는 데 사용됩니다.
Deep Cogito: 국내 AI 기업 코난테크놀로지가 개발한 대형 언어 모델(LLM)입니다. 한국어 데이터에 특화되어 있으며, 공공 및 기업용 AI 솔루션 구축에 활용됩니다.
Deep Research: AI 기술을 활용하여 특정 주제에 대한 심층적인 정보 수집 및 분석을 수행하는 개념 또는 서비스입니다. 방대한 데이터에서 인사이트를 추출하고 연구 과정을 효율화합니다.
Deepseek V3: 중국 AI 스타트업 DeepSeek AI가 개발한 최신 언어 모델입니다. 특히 코딩 및 수학 추론 능력에서 강점을 보이며, 오픈소스 버전도 공개되었습니다.
DeepSeekCoder V2: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 AI)가 개발한 오픈소스 코드 생성 전문 AI 모델입니다.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하며, 코드 작성 및 디버깅 작업의 효율성을 높여줍니다.
DINO: Meta AI에서 개발한 자기 지도 학습(Self-supervised learning) 기반의 컴퓨터 비전 모델입니다. 레이블이 없는 대규모 이미지 데이터셋에서도 효과적으로 시각적 특징을 학습하는 능력을 보여줍니다.
Disco AI 어시스턴트: 과학 연구 분야에 특화된 AI 비서 서비스입니다. 전 세계 과학 논문, 데이터셋 등을 검색하고 요약하며, 연구자의 질문에 답변하여 정보 탐색 효율을 높입니다.
DragGAN: 사용자가 이미지 위의 특정 지점을 잡고 드래그하여 원하는 대로 이미지 속 객체의 자세나 형태를 직관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AI 기반 이미지 조작 기술 또는 도구입니다.
Dream Track: Google DeepMind의 실험적인 AI 음악 생성 도구입니다. 텍스트 프롬프트와 간단한 멜로디 입력을 통해 특정 아티스트 스타일의 짧은 음악 클립을 만들 수 있습니다.
EmoteDiffusion: 텍스트 설명이나 감정 레이블 입력을 통해 특정 감정을 표현하는 얼굴 표정 이미지를 생성하는 딥러닝 모델입니다. Diffusion 모델 기반으로 사실적인 표정 생성을 목표로 합니다.
EmotionAvatar: 사용자가 지정한 감정에 따라 다양한 표정을 생성하는 AI 기반 아바타 또는 얼굴 생성기입니다. 가상 캐릭터의 감정 표현을 풍부하게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Emu(Expressive Media Universe): Meta AI가 개발한 이미지 및 비디오 생성/편집 모델 제품군입니다.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표현력이 풍부한 미디어 콘텐츠를 만들거나 수정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ERNIE 4.5: 바이두가 개발 중인 차세대 대형 언어 모델입니다. 기존 ERNIE 모델보다 향상된 언어 이해, 생성, 추론 능력을 갖출 것으로 예상됩니다.
ERNIE Bot: 중국 바이두(Baidu)가 개발한 대화형 AI 챗봇 모델입니다. 바이두 검색 엔진 및 기타 서비스와 통합되어 사용자에게 정보 검색, 콘텐츠 생성 등을 지원합니다.
EXAONE Deep: LG AI연구원이 개발한 초거대 멀티모달 AI 모델 브랜드입니다. 언어,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데이터를 이해하고 생성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Falcon Shores: 인텔이 개발 중인 차세대 데이터센터용 고성능 컴퓨팅 아키텍처입니다. CPU와 GPU를 통합하여 AI 및 HPC 워크로드 처리 성능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Firefly Video: Adobe Firefly 제품군에 포함된 동영상 생성 및 편집 AI 기능입니다. 텍스트 설명을 통해 짧은 영상을 생성하거나, 기존 영상에 AI 기반 효과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Florence 2: Microsoft가 개발하여 오픈소스로 공개한 컴퓨터 비전 AI 모델입니다. 객체 인식, 이미지 캡션 생성, 시각적 질의응답 등 다양한 시각 관련 작업을 높은 성능으로 처리합니다.
Fluid: Google DeepMind와 MIT가 공동 개발한 텍스트-이미지 생성 AI 모델입니다. 비교적 적은 파라미터로도 높은 품질과 예술적 스타일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효율성이 특징입니다.
Flux.1: Black Forest Labs가 개발한 오픈소스 텍스트-이미지 생성 모델입니다. 비교적 적은 파라미터 수로도 고품질 이미지를 생성하는 성능을 목표로 합니다.
Framer AI 애니메이션: 웹사이트 디자인 및 프로토타이핑 도구 Framer에 추가된 AI 기능입니다. 사용자가 텍스트 설명만으로 웹 요소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GAN (생성적 적대 신경망): 생성자(Generator)와 판별자(Discriminator)라는 두 개의 신경망이 서로 경쟁하며 학습하는 비지도 학습 기반의 딥러닝 모델입니다. 주로 이미지 생성 분야에서 실제와 유사한 데이터를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Gauss AI: 삼성전자가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 모델 제품군입니다. 갤럭시 스마트폰 등 삼성 기기에 탑재되어 온디바이스 AI 기능을 구현하며, 언어, 코드, 이미지 생성을 지원합니다.
Gemini 2.5 플래시: Google의 Gemini 2.5 제품군 중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모델입니다. 대규모 추론보다는 빠른 응답 속도가 중요한 작업에 맞춰 설계되었습니다.
Gemini 2.5 Pro: Google의 최신 플래그십 대형 언어 모델입니다. 복잡한 추론, 코딩, 창의적 글쓰기 등 다양한 작업에서 최고 수준의 성능을 제공합니다.
Gemini Advanced: Google의 Gemini 모델 기반 유료 구독 서비스입니다. 최상위 모델인 Ultra 모델에 접근 권한을 제공하며, 더 복잡하고 긴 작업을 처리하는 데 향상된 성능을 보입니다.
Gemma 2: Google이 오픈소스로 공개한 대형 언어 모델(LLM)입니다. 연구 및 상업적 용도로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며, 다양한 크기로 제공되어 개발자들이 필요에 맞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Gen-3: AI 영상 편집 플랫폼 Runway가 개발한 세 번째 세대 비디오 생성 모델입니다. 텍스트 설명이나 이미지 입력을 통해 더 길고 일관성 있는 고품질 영상을 생성하는 능력이 향상되었습니다.
GitHub 코파일럿 (Copilot): GitHub가 OpenAI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한 AI 코딩 지원 도구입니다. 개발자가 코드를 작성할 때 실시간으로 코드 라인이나 함수 전체를 자동 완성하거나 제안해줍니다.
GitHub Copilot Pro+: GitHub Copilot의 향상된 유료 버전으로, 개발자를 위한 AI 코딩 지원 도구입니다. 개인화된 코드 완성 기능, 보안 취약점 분석 등 고급 기능을 제공하여 생산성을 높입니다.
GMIC: 감정 분류(Emotion Classification)에 특화된 AI 모델을 지칭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음성, 이미지 등에서 감정을 인식하고 분류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GORANI 모델: 국내 AI 스타트업 업스테이지(Upstage)가 개발한 소형 언어 모델(SLM)입니다. 경량 모델임에도 높은 성능을 목표로 하며, 특히 한국어 처리 능력에 강점을 가집니다.
GPT 스토어: OpenAI가 운영하는 마켓플레이스입니다. 사용자들이 특정 목적이나 작업에 맞춰 직접 만들거나 다른 사람이 만든 맞춤형 챗봇(커스텀 GPT)을 공유하고 발견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GPT-4o: OpenAI의 최신 플래그십 멀티모달 AI 모델입니다. 텍스트, 음성,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생성하며, 이전 모델보다 빠른 속도와 향상된 다국어 성능을 제공합니다.
GPT-4V: GPT-4 모델에 시각(Vision) 능력을 추가한 버전입니다.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를 입력으로 받아 이해하고 관련된 질문에 답하거나 설명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GPT-5: OpenAI가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진 차세대 대형 언어 모델입니다. 현재 최신 모델인 GPT-4o를 능가하는 성능과 새로운 기능을 갖출 것으로 기대됩니다.
GPT-o1: OpenAI 모델의 내부 코드명 또는 초기 버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o' 시리즈 모델 중 하나로, GPT-4o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GPT4ALL: 다양한 오픈소스 대형 언어 모델을 개인용 컴퓨터에서도 쉽게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및 생태계입니다.
Grok 1.5: xAI가 개발한 대화형 AI 모델의 버전입니다. 실시간 정보 접근 능력과 특유의 유머러스하고 비판적인 답변 스타일이 특징이며, 오픈소스로 공개되었습니다.
HuggingChat: 오픈소스 AI 커뮤니티 플랫폼 Hugging Face에서 제공하는 AI 챗봇 인터페이스입니다. 다양한 오픈소스 언어 모델을 직접 사용해보고 비교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Human Pose 학습: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이미지나 비디오 속 사람의 관절 위치나 신체 부위의 3차원 자세를 인식하고 추정하는 기술을 학습하는 과정입니다. 동작 분석, 가상현실 아바타 제어 등에 활용됩니다.
ID.A 음성비서: 폭스바겐(Volkswagen) 차량에 탑재되는 음성 인식 기반의 AI 비서 시스템입니다. 차량 제어, 내비게이션, 정보 검색 등 운전자의 편의를 돕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interpolation: 데이터 포인트 사이의 값을 추정하는 수학적 방법입니다. AI, 특히 이미지 생성 분야에서는 잠재 공간(Latent space)에서 두 점 사이를 보간하여 이미지 간의 자연스러운 전환 효과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Janus (야누스): 딥시크(Deepseek AI)가 개발한 오픈소스 멀티모달 AI 에이전트입니다. 텍스트와 이미지를 동시에 이해하고 생성하여, 대화와 시각적 결과물을 함께 제공할 수 있습니다.
KoAlpaca: 스탠포드 대학의 Alpaca 모델을 기반으로 한국어 데이터를 사용하여 파인튜닝한 오픈소스 소형 언어 모델입니다. 한국어 자연어 처리 연구 및 개발에 활용됩니다.
KREA AI Video Re-style: KREA AI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AI를 사용하여 기존 비디오의 시각적 스타일을 다른 스타일(예: 애니메이션, 유화)로 변환합니다.
LangChain: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입니다. LLM을 외부 데이터 소스나 다른 계산 도구와 연결하여 더 복잡하고 유용한 AI 앱을 만들 수 있도록 돕습니다.
Llama 2-Long: Meta AI가 Llama 2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한, 매우 긴 문맥(Context window)을 처리할 수 있도록 확장된 모델입니다. 장문의 문서 요약이나 분석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Llama 3.1: Meta AI가 오픈소스로 공개한 최신 대형 언어 모델입니다. 이전 버전에 비해 향상된 코딩 능력과 추론 성능을 제공하며, 다양한 크기로 제공됩니다.
LoRA (Low-Rank Adaptation): 대규모 언어 모델 등 사전 학습된 AI 모델을 파인튜닝하는 PEFT 기법 중 하나입니다. 모델의 가중치 행렬(Weight matrix)에 저차원(Low-rank) 업데이트를 적용하여 적은 수의 파라미터만으로 효율적인 미세 조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Lyria: Google DeepMind가 개발한 음악 생성 AI 모델입니다. 사용자의 지시나 스타일에 따라 악기 연주, 보컬 트랙 등 복잡한 구조의 음악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Make-A-Character: 텍스트 설명을 통해 특정 성격과 감정을 가진 가상의 캐릭터 이미지나 설명을 생성하는 AI 도구 또는 모델을 지칭할 수 있습니다. 스토리텔링이나 게임 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Mnus: Manus AI는 Monica.im에서 개발한 자율적인 인공지능 에이전트로, 인간의 직접적인 지시 없이 복잡한 온라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시장 조사 등에서 우수한 기능이 있으나 가격이 비싸고 크레딧 소진이 빠른 단점.
Marco-o1: OpenAI에서 개발 중인 것으로 추정되는 AI 모델의 코드명입니다. 구체적인 용도나 성능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MCP: MCP (Model Context Protocol)는 AI 모델이 외부 데이터 소스와 안전하게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방형 프로토콜입니다. Anthropic에서 개발했으며 Google, Microsoft, OpenAI 등 주요 AI 기업들이 채택하고 있습니다. MCP는 AI 에이전트가 외부 서비스의 도구 및 리소스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Meta AI 캐릭터: Meta 플랫폼(Facebook, Instagram 등)에 도입된 AI 기반의 가상 인물 챗봇입니다. 유명인의 페르소나를 기반으로 하거나 특정 역할을 수행하며 사용자와 상호작용합니다.
Meta ImageBind: Meta AI가 개발한 멀티모달 AI 모델입니다. 이미지, 텍스트, 오디오, 깊이(Depth), 열(Thermal), 관성 측정 장치(IMU) 데이터 등 6가지 다른 종류의 데이터를 하나의 공통된 임베딩 공간에 매핑하여 서로 연관시키는 능력을 가집니다.
Meta Spirit LM (스피릿 LM): Meta AI가 개발한 음성-음성 실시간 번역 모델입니다. 원본 화자의 목소리 톤과 감정, 억양 등을 유지하면서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것이 특징이며, 오픈소스로 공개되었습니다.
Microsoft 365 Copilot: Microsoft 365(구 오피스) 애플리케이션(Word, Excel, PowerPoint, Teams 등) 전반에 통합된 AI 비서 기능입니다. 사용자의 작업을 돕고 콘텐츠 생성을 지원합니다.
Microsoft Cloud for Healthcare: Microsoft가 의료 산업을 위해 특별히 구성한 클라우드 솔루션입니다. Azure AI 서비스 등을 활용하여 환자 관리, 임상 분석, 의료 운영 효율화 등을 지원합니다.
Midjourney V7: 이미지 생성 AI 서비스 Midjourney의 최신 버전입니다. 이전 버전에 비해 더욱 향상된 이미지 품질, 프롬프트 이해도, 사실적인 표현 능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Mistral Large 2: 프랑스 AI 스타트업 Mistral AI가 개발한 대형 언어 모델입니다. 뛰어난 성능과 효율성을 특징으로 하며, 오픈소스 모델 생태계의 주요 대안 중 하나입니다.
MPT-7B Storywriter: AI 스타트업 MosaicML(데이터브릭스에 인수됨)이 개발한 70억 파라미터 규모의 오픈소스 언어 모델입니다. 특히 매우 긴 문맥(65,000 토큰)을 처리하여 긴 이야기나 문서를 생성하는 데 강점을 가지도록 훈련되었습니다.
Music AI Incubator: Google과 YouTube가 운영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아티스트, 작곡가, 프로듀서와 협력하여 책임감 있는 AI 음악 생성 도구를 탐색하고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NotebookLM: Google이 개발한 AI 기반 노트 필기 및 연구 보조 도구입니다. 사용자가 업로드한 문서나 자료를 바탕으로 질문에 답하고, 아이디어를 요약하며, 새로운 콘텐츠 초안을 작성하는 것을 돕습니다.
o3: OpenAI에서 개발 중인 것으로 추정되는 AI 모델 코드명 중 하나입니다. 구체적인 특징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GPT-4o 이후의 모델 라인업에 속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o3(Orion): OpenAI에서 개발 중인 것으로 추정되는 AI 모델의 코드명입니다. 스마트 안경과 관련된 Apple의 코드명 'Orion'과는 별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o4-mini: OpenAI에서 개발 중인 것으로 추정되는 경량 AI 모델 코드명 중 하나입니다. o3 모델의 소형 버전으로, 온디바이스 환경이나 빠른 응답이 필요한 작업에 최적화될 수 있습니다.
OCR (광학 문자 인식): 이미지 속의 텍스트(인쇄되거나 손으로 쓴 글자)를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술입니다. 스캔 문서나 사진 속 글자를 인식하는 데 널리 사용됩니다.
OpenAI 에이전트 도구: OpenAI가 개발 중인 AI 에이전트 관련 기술 및 도구 세트입니다. AI가 사용자를 대신하여 복잡한 작업을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OpenAssistant V2: 비영리 커뮤니티에서 개발한 오픈소스 대화형 AI 챗봇 모델의 두 번째 버전입니다.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되며,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Optimus: Tesla가 개발 중인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 로봇)입니다. 공장 내 작업이나 위험한 환경에서의 노동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Tesla의 AI 기술이 집약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PaLM2: Google이 개발한 대형 언어 모델입니다. Gemini 모델 이전 세대의 주력 모델로, 다양한 자연어 이해 및 생성 작업에서 높은 성능을 보였습니다.
PassGAN: GAN(생성적 적대 신경망) 기술을 이용하여 유출된 실제 비밀번호 데이터를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흔히 사용될 법한 새로운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비밀번호 추측 공격에 활용하는 AI 모델입니다. 보안 취약성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PDF + ChatGPT: 사용자가 PDF 문서를 업로드하면 ChatGPT가 해당 문서의 내용을 이해하고 요약하거나, 관련 질문에 답변하는 등 문서 기반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 또는 연동 방식입니다.
PEFT (Parameter-Efficient Fine-Tuning): 대규모 사전 학습 모델을 특정 작업에 맞게 미세 조정(파인튜닝)할 때, 모든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하는 대신 일부 파라미터만 효율적으로 조정하는 기법들의 총칭입니다. LoRA 등이 여기에 속하며, 계산 비용과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Perplexity Pro: AI 검색 엔진 Perplexity의 유료 구독 버전입니다. 더 많은 사용량, 파일 업로드 기능, 향상된 AI 모델 접근 등 고급 기능을 제공합니다.
Perplexity: 대화형 AI 검색 엔진 서비스입니다. 사용자의 질문에 대해 웹 소스를 검색하고 정보를 종합하여 출처가 명확한 요약 답변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Phi-3-mini: Microsoft Research가 개발하여 오픈소스로 공개한 38억 파라미터 규모의 소형 언어 모델입니다. 모바일 기기 등 저사양 환경에서도 GPT-3.5 수준의 성능을 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Photoshop Generative Fill: Adobe Photoshop에 추가된 생성형 AI 기능입니다. 사용자가 이미지 영역을 선택하고 텍스트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AI가 해당 영역을 자연스럽게 채우거나 새로운 객체를 생성합니다.
Pika Labs: 텍스트나 이미지를 입력받아 짧은 동영상을 생성하는 AI 기반 플랫폼 또는 해당 회사를 지칭합니다. 사용 편의성과 창의적인 영상 변환 기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Playground: OpenAI가 제공하는 웹 기반 인터페이스입니다. 사용자가 코딩 없이 직접 다양한 AI 모델(GPT 등)을 테스트하고, 파라미터를 조정하며 프롬프트를 실험해볼 수 있는 환경입니다.
QvQ-32B-Preview: 알리바바 클라우드의 Qwen 모델 라인업 중 하나로 추정됩니다. 320억 파라미터 규모의 미리보기 버전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Qwen-VQ 72B: 알리바바 클라우드가 개발한 대형 언어 모델입니다. 시각적 이해 능력을 강화하여 이미지와 관련된 질문에 답하거나 설명을 생성하는 데 뛰어난 성능을 보입니다.
R1: 휴메인(Humane)이 개발한 AI 기반 웨어러블 기기입니다. 화면 없이 음성 및 레이저 투사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며 정보를 제공합니다.
Recraft v3: 오픈소스 커뮤니티 주도로 개발된 텍스트-이미지 생성 모델입니다. 고품질 이미지 생성 능력으로 주목받았으며, 상용 모델에 대한 오픈소스 대안으로 평가받습니다.
RNN (순환 신경망): 인공 신경망의 한 종류로, 순차적인 데이터(예: 텍스트, 시계열) 처리에 주로 사용됩니다. 이전 단계의 출력이 다음 단계의 입력으로 사용되는 순환 구조를 가집니다.
Runway Gen-2: AI 영상 편집 플랫폼 Runway가 개발한 두 번째 세대 비디오 생성 모델입니다. 텍스트나 이미지를 입력받아 짧은 동영상을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RVC 모델 (Retrieval-based Voice Conversion): 특정인의 목소리 특징을 학습한 후, 다른 사람의 목소리를 해당 목소리로 변환하는 AI 음성 변환 기술 모델입니다. 적은 데이터로도 비교적 자연스러운 음성 변환이 가능하여 주목받고 있습니다.
SadTalker: 정지된 얼굴 사진과 오디오 입력을 사용하여, 해당 오디오에 맞춰 자연스럽게 말하는 듯한 얼굴 애니메이션 비디오를 생성하는 AI 모델 또는 도구입니다.
SAM 모델 (Segment Anything Model): Meta AI가 개발한 이미지 분할(Image Segmentation) AI 모델입니다. 별도의 추가 학습 없이도 이미지 내의 어떤 객체든 식별하고 정확하게 분리(마스크 생성)하는 범용적인 능력을 보여줍니다.
SciSpace: 연구자를 위한 AI 기반 플랫폼입니다. 논문 검색, 요약, 설명, 인용 생성 등 연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SD Mov2Mov: Stable Diffusion 모델을 활용하여 비디오의 각 프레임 스타일을 변환하여 새로운 비디오를 생성하는 기술 또는 도구입니다. 원본 영상의 움직임을 유지하면서 시각적 스타일만 바꿀 수 있습니다.
SearchGPT: OpenAI가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진 검색 특화 AI 모델입니다. 웹 검색 결과와 생성형 AI의 답변을 결합하여 사용자 질문에 대한 포괄적이고 최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Segment Anything Model 2 (SAM 2): Meta AI가 개발한 이미지 분할 AI 모델의 두 번째 버전입니다. 이미지나 비디오 내의 객체를 더 빠르고 정확하게 식별하고 분리하는 성능을 제공합니다.
Siri: Apple 기기에 탑재된 음성 인식 기반의 인공지능 비서입니다.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통해 정보 검색, 일정 관리, 기기 제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Slack AI: 업무용 메신저 Slack에 통합된 AI 기능 모음입니다. 채널 대화 요약, 메시지 초안 작성, 정보 검색 등 협업 생산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Stable Assistant: Stability AI가 개발한 멀티모달 AI 챗봇 또는 어시스턴트입니다. 텍스트 대화뿐만 아니라 Stable Diffusion 기반의 이미지 생성 기능 등을 통합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Stable Diffusion 3.5: Stability AI의 Stable Diffusion 3 모델 라인업 중 특정 버전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향상된 이미지 품질과 효율성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Stable Diffusion XL 1.0: Stability AI의 Stable Diffusion 모델 중 고해상도 이미지 생성에 특화된 버전입니다. 더 큰 크기의 이미지를 높은 품질로 생성하는 데 강점을 가집니다.
StableLM 2 1.6B: Stability AI가 개발한 16억 파라미터 규모의 소형 언어 모델입니다. 다국어 데이터를 학습했으며, 경량 모델임에도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StableVicuna: Vicuna와 같은 오픈소스 챗봇 모델을 RLHF(인간 피드백 기반 강화 학습) 방식으로 훈련시킨 모델입니다. 지시를 더 잘 따르고 안전성을 높인 오픈소스 챗봇을 목표로 합니다.
StyleAgent: 사용자의 특정 그림 스타일을 학습하여 해당 스타일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웹툰 캐릭터나 이미지를 생성하는 AI 에이전트 또는 시스템입니다. 웹툰 제작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Suno v3.5: AI 음악 생성 스타트업 Suno AI의 최신 모델 버전입니다. 텍스트 설명을 통해 더 길고 자연스러운 음악과 보컬을 생성하는 능력이 향상되었습니다.
SynthID: Google DeepMind가 개발한 디지털 워터마킹 기술입니다. AI가 생성한 이미지나 오디오 콘텐츠에 눈에 띄지 않는 워터마크를 삽입하여 콘텐츠의 출처를 식별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Tongyi Qianwen (통이 첸원): 중국 알리바바 그룹이 개발한 대형 언어 모델 및 이를 기반으로 한 AI 비서 서비스입니다. 알리바바의 다양한 서비스(딩톡, 클라우드 등)에 통합되어 활용됩니다.
Tortoise: 음성 복제 및 텍스트 음성 변환(TTS)에 특화된 오픈소스 AI 모델입니다. 고품질의 자연스러운 합성 음성을 생성하는 능력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Trainium: AWS(Amazon Web Services)가 자체 설계한 AI 모델 훈련용 맞춤형 반도체 칩입니다. 대규모 딥러닝 모델 훈련 비용을 절감하고 성능을 높이는 데 사용됩니다.
Transformer: 주로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사용되는 딥러닝 모델 아키텍처입니다. '어텐션(Attention)'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입력 시퀀스 내 단어 간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학습합니다.
TruthGPT: 일론 머스크가 언급한 개념으로, 편향 없이 진실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AI 모델입니다. xAI의 Grok 모델 개발 철학과 관련이 있습니다.
Ultra 1.0 모델: Google의 Gemini 모델 시리즈 중 가장 강력한 성능을 가진 최상위 모델입니다. Gemini Advanced 구독자를 통해 사용할 수 있으며, 고도의 추론 능력이 필요한 작업에 특화되었습니다.
vectorizer.ai: 비트맵 이미지(JPEG, PNG 등)를 벡터 그래픽(SVG 등) 형식으로 변환해주는 AI 기반 온라인 도구입니다. 이미지 품질 손상 없이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벡터 파일로 만들어줍니다.
Veo 2: Google DeepMind의 최신 동영상 생성 AI 모델입니다.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프롬프트를 기반으로 1분 이상의 고화질 영상을 생성하며, 이전 모델보다 향상된 영상 일관성과 제어 기능을 제공합니다.
VeritasAI: AI 모델의 신뢰성, 공정성, 투명성을 검증하고 평가하는 솔루션 또는 플랫폼을 지칭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개발사나 제품 특징은 문맥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ViT (Vision Transformer):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성공을 거둔 트랜스포머(Transformer) 아키텍처를 컴퓨터 비전 분야에 적용한 모델입니다. 이미지 인식 등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여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Voicebox: Meta AI가 개발한 음성 생성 AI 모델입니다. 텍스트 음성 변환(TTS), 음성 편집, 노이즈 제거 등 다양한 음성 관련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voices GPT: 음성 관련 기능에 특화된 커스텀 GPT 챗봇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GPT 스토어 등에서 사용자가 특정 목적을 위해 만든 GPT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watsonx: IBM의 기업용 AI 및 데이터 플랫폼입니다. 파운데이션 모델, 데이터 저장소, 거버넌스 도구 등을 통합하여 기업이 AI를 신뢰성 있게 구축하고 확장하도록 지원합니다.
Windows Copilot: Microsoft Windows 운영체제에 통합된 AI 비서 기능입니다. 사용자가 PC 설정 변경, 파일 검색, 앱 실행, 질문 답변 등 다양한 작업을 자연어 대화를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현재는 Copilot in Windows로 명칭 변경 가능성 있음)
WordPress AI 빌더: 웹사이트 제작 플랫폼 WordPress에 통합된 AI 기반 도구입니다. 사용자가 자연어 설명을 통해 웹사이트 콘텐츠, 레이아웃, 이미지 등을 자동으로 생성하거나 수정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